2022. 2. 15. 08:22ㆍ모두의미국주식
1. 다우 -0.49%,나스닥 -0.23%,S&P 500 -0.38%

- 미국증시, 러시아 침공 우려에 하락..다우 0.49%↓
- 캔자스 연은 총재 3월 50bp 금리인상 필용성 확신 못해
- '매파' 불라드 美연은 총재 "Fed, 빨리 금리인상해야"
- 리치먼드 연은 총재 "꾸준하게 금리인상 해야"
- G7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시 대대적 경제제재 시행
- 러시아 "우크라 나토 가입 포기한다면 협상 도움 될 것"
- WTI 96달러 근접했다..유가 100달러 시대 눈앞
2. 금주 경제 캘린더

3. 실절 발표

4. S&P 500 map

4-1. ETF map

한국인 미국주식 거래 상위 종목

5. VIX 지수 (공포지수) : 대체로 VIX가 높아지면 주가는 폭락하는 경향.
- VIX 지수 40 이상 : 과매도 구간 매수 고려 (공포 구간)
- VIX 지수 20 이하 : 과매수 구간 매도 고려 (흥분 구간)

5-1. 공포 & 탐욕 지수 (투자 심리)
- Greed 단계에서 80 이상 넘어가면 하락 신호
- Extreme Fear단계에서 25 이하 내려가면 매수 신호
6. 환율
1,197.57 +0.12(+0.01%)
7. 주요 뉴스
https://www.wowtv.co.kr/NewsCenter/News/Read?articleId=A202202150011
미국증시 러시아 침공 우려에 하락다우 049
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가 공격적인 긴축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수 있다는 공포 속에 대체로 하락했다. 14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
www.wowtv.co.kr
https://news.einfomax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198601
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"3월 50bp 금리 인상 필요한지 확신 못 해" - 연합인포맥스
*그림1*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의 모습(뉴욕=연합인포맥스) 윤영숙 특파원 =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(연은) 총재는 오는 3월 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가 기준금리를 50bp 인
news.einfomax.co.kr
https://www.asiae.co.kr/article/2022021504120820260
'매파' 불라드 美연은 총재 "Fed, 빨리 금리인상해야"
제임스 불라드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4일(현지시간) 인플레이션 대응 차원에서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(Fed)가 빨리 금리를 인상해야한다고 밝혔다. 불라드 총재는 이날 CNBC
www.asiae.co.kr
https://news.einfomax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198608
리치먼드 연은 총재 "꾸준하게 금리인상 해야" - 연합인포맥스
*그림1*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연합뉴스 자료 사진(뉴욕=연합인포맥스) 정선영 특파원 =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(연은) 총재는 꾸준한 금리 인상을 선호한다고 말했
news.einfomax.co.kr
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48147#home
'16일 침공설' 우크라 위기 고조…G7 "러 침공시 즉각 경제제재"
'16일 침공설' 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주요 7개국(G7) 재무장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즉각 대대적인 경제제재를 도입할 준비가 끝났다고 밝혔다
www.joongang.co.kr
https://www.fnnews.com/news/202202142122211767
러시아 "우크라 나토 가입 포기한다면 협상 도움 될 것"
기사내용 요약 크렘린 "러시아 안보 우려 관한 협상 도움 될 것" 英 우크라 대사, "가입 포기할수도" 발언 정정…"입장변화 없다" [런던=뉴시스]이지예 특파원 =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나토(NATO·
www.fnnews.com
https://www.edaily.co.kr/news/read?newsId=01138166632230848&mediaCodeNo=257
WTI 96달러 근접했다…유가 100달러 시대 눈앞
국제유가가 재차 상승하면서 배럴당 95달러를 돌파했다.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긴장감이 격화하면서다.(사진=AFP 제공)14일(현지시간) 마켓포인트 등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
www.edaily.co.kr